한시 향 머금은 번안시조【1-121】

현대 사법제도인 법원의 판결도 엉성하기 그지없다. 이른바 증거주의를 표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증은 가지만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억울한 사람이 옥살이를 하거나 패소하는 경우는 얼마든지 있다. 예나 이제나 이런 폐단이 우리 사회에 존재했던 모양이다. 시인은 사실과 전혀 다른 억울한 옥살이를 우공과 추연의 고사를 인용하여 시문을 써서 옥의 벽에 붙여 호소한다. 하늘도 노하여 천둥과 번개를 쳤다고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憤怨(분원) / 거인
우공이 통곡하니 삼년이나 가물었고
추연이 슬퍼하니 오월에 서리내렸네
내 시름 우공과 추연 같건만 하늘은 말이 없네.
于公痛哭三年旱 鄒衍含悲五月霜
우공통곡삼년한 추연함비오월상
今我幽愁還似古 皇天無語但蒼蒼
금아유수환사고 황천무어단창창

하늘은 말이 없고 푸르기만 하구나(憤怨)으로 직역해 본 칠언절구다. 작자는 거인(巨仁:?∼?)으로 신라 진성여왕 때 은자(隱者)로 왕거인(王巨仁)이다. 작자에 대한 생몰 연대와 행적은 알 수 없다. 위 한시 원문을 번역하면 [우공이 통곡하니 삼년이 가물고 / 추연이 슬픔을 머금으니 오월(여름)에도 서리가 내렸구나 / 이제 나의 깊은 시름은 돌이키니 예(우공과 추연)와 같건만 / 하늘은 말이 없고 다만 푸르기만 하구나]라는 시상이다.

이 시제는 [분하고 원통함]으로 번역된다. 신라 진성여왕은 행실이 문란하고 국정도 바로 다스리지 못했던 모양이다. 누군가 비방하는 대자보를 써 붙였다. 여왕이 명하여 그를 잡으려 했으나 잡지 못했다. 틀림없이 ‘거인’의 소행이라고 했다. 이 말을 들은 여왕은 거인을 잡아 가두었다. 거인은 억울하여 옥 벽에다 위 시를 썼더니 갑자기 우박이 쏟아지고 천둥 번개가 쳤다. 이에 여왕은 두려워 곧 거인을 석방했다는 시적인 배경이다.

여기서 다음 고사를 알고 넘어가자. ‘于公(우공)’은 한(漢) 나라 사람으로 한 효부가 시누이에게 모함을 받았다. 태수에게 억울하게 죽게 되어 그 여인을 변호했으나 뜻을 이루어지지 못했다. ‘추연(鄒衍)’은 남의 모함을 받아 옥에 갇혔던 추나라 사람이다. 이 두 사람은 억울한 누명을 썼다고 인용한다.

시인은 자기의 억울한 시름을 우공과 추연에 비교하면서 하늘은 말없이 푸르기만 하다고 탄식한다. 화자는 아무 근거 없이 남을 무고하는 못된 인간이 있었으니, 하늘을 감동시킨 이 시의 위대한 힘은 신비스럽고도 장쾌한 은유적인 표현이다.

【한자와 어구】
于公: 우공. 痛哭: 통곡. 三年旱: 삼년동안 가물다. 鄒衍: 추연. 含悲: 슬픔을 머금다. 五月霜: 여름에도 서리가 내린다. // 今: 이제. 我幽愁: 나의 깊은 시름. 還: 돌이키다. 似古: 예과 같다. 皇天: 황천. 無語: 말이 없이. 但: 다만. 蒼蒼: 푸르기만 하다. 의태어임.

장희구 張喜久(문학박사 / 문학평론가·시조시인)
아호 : 瑞雲·黎明·友堂
한국시조사랑시인협회 국제교류연구소장 / 한국문인협회 회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문학박사)
남부대학교·북경경무직업대학 교수 역임
조선대·서울교대·공주교대·광주교대 外 출강

 

저작권자 © 홍천뉴스 / 홍천신문 홍천지역대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